반응형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가 ‘2010 연구개발특구 통계조사’를 완료하고 주요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 2005년 특구출범 당시 687개였던 기업 수는 지난해 1179개로 늘었고, 같은 기간 매출액은  2조 5639억 원에서 17조 6843억 원으로 589.7% 증가했습니다.

연구개발비는 1조 8131억 원에서 지난해 6조 5463억 원으로 261% 확대됐고, 이는 대덕특구의우리나라 총 연구개발비 43조 8548억 원의 14.9%에 해당합니다.

대덕특구 내 박사 연구인력은 2005년 6236명에서 9055명으로 45.2%로 증가했으며, 우리나라 전체 박사 연구인력(8만 1442명) 중 11.1%가 대덕특구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대덕특구 내 입주기관으로는 정부출연연구기관 30개, 공공기관 8개, 국공립기관 14개, 기타 비영리기관 30개, 대학 5개, 기업 1179개 등이 있습니다.
---------------------------------------------------------

대덕특구 주요 현황

 1. 일반현황(입주기관)
대구
특구 내 입주기관 현황으로는 출연기관 4개, 기타비영리 기관 6개, 대학 8개, 기업 225개 등 총 243개로 조사되었다. 
○ 입주 기업 225개를 구분하면 대기업 5개, 중소기업 220개, 코스닥기업 12개, 벤처인증기업 120개, 이노비즈 기업은 67개로
파악되었다.(구분별 중복가능)


2. 매출액

○ 특구내 총 매출액은 3조 6,086억원이었으며, 매출구조는 대기업이 1조 9,528억원으로 54.1%, 중소기업이 1조 6,560억원으로 45.9%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 1억원 ~ 5억원 미만의 기업이 52개사 23.2%로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3. 연구개발비  
특구내 총 연구개발비는 4,048억원이며 대학이 2,604억원으로 64.3%를 사용하여 연구개발비가 한쪽으로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개발비 조달은 자체 조달 978억원으로 24.2% 나머지 3,070억원은 외부로부터 조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인력
○ 특구 내에 종사하는 인력은 총 1만 9,487명으로 연구직 종사자가 7,732명, 생산․관리직 인력이 11,755명으로 분석됐으며,
○ 이중 연구직 학위현황을 분석한 결과 박사는 4,239명, 석사 2,052명, 학사 이하 1,441명으로 나타났다.


5. 연구성과
○ 기술이전 실적은 특구내 기술이전 53건, 특구 외 기술이전 40건, 국외 기술이전 2건 등 총 95건이며, 기술이전료는 12.9억원으로 나타났다.
○ 국내․외 특허 관련하여서는 국내 출원 924건, 등록 438건이었으며, 해외특허는 출원 107건 등록 12건으로 나타났다.



------------------------------------------

< 광주 특구 주요 통계현황>


1. 입주기관
광주특구 내 입주기관 현황으로는 출연기관 7개, 공공기관 3개, 기타비영리 기관 7개, 대학 4개, 기업 415개 등 총 436개로 조사되었다.
○ 입주 기업 415개를 구분하면 대기업 3개, 중소기업 415개, 코스닥기업 6개, 벤처인증기업 228개, 이노비즈 기업은 112개로 파악되었다.(구분별 중복가능)


2. 매출액
특구내 총 매출액은 6조 6,497억원이었으며, 중소기업 매출액은 총 매출액의 19.3%인 1조 2,809억원으로 매출액이 10억~50억원 이하인 기업이 전체의 38.1%(158개)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3. 연구개발비 
특구내 총 연구개발비는 3,584억원으로 대부분 대학에 집중되어 4개 대학이 2,413억원(67.3%)의 연구개발비를 사용했다 
이중 입주기관이 부담하는 자체 연구개발비가 642억원, 정부 및 민간 외부로부터 받은 연구개발비는 2,942억원으로 분석됐다.


4. 인력 
특구 내에 종사하는 인력은 총 1만 4,735명으로 연구직 종사자가 4,928명, 생산․관리직 인력이 9,807명으로 분석됐으며,
○ 이중 연구직 학위현황을 분석한 결과 박사는 2,828명, 석사 1,084명, 학사 이하 1,016명으로 나타났다.


5. 연구성과
기술이전 실적은 특구내 기술이전 67건, 특구 외 기술이전 48건, 국외 기술이전 2건 등 총 117건이며, 기술이전료는 45억원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특허 관련하여 국내 출원 837건, 등록 518건이었으며, 해외특허는 출원 224건 등록 78건으로 나타났다.

=========================================

■  2010년 연구개발특구 통계조사 개요


구 분

대 덕

광 주

대 구

총 계

모집단

1,266

436

243

1,945

응답기관

1,150(90.8%)

374(85.8%)

119(81.9%)

1,723(88.6%)


   ※ 광주특구와 대구특구는 각각 ‘11년 3월과 4월에 출범하여 ’10년은 시점상 특구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각 특구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통계조사 실시

□ 대덕특구 입주기관 현황
(단위 : 개)

구 분

출연기관

공공기관

(투자기관)

국공립

기관

기타

비영리

교육기관

기업

합계

2010

30

8

14

30

5

1,179

1,266

2009

29

8

14

27

5

1,006

1,089

2008

28

7

14

24

6

980

1,059

2007

28

7

15

23

6

898

977

2006

21

9

13

8

6

786

843

2005

21

10

12

6

6

687

742


□ 대구, 광주특구 입주기관 현황
(단위 : 개)

구 분

출연기관

공공기관(투자기관)

국공립

기관

기타

비영리

교육기관

기업

합계

대구

4

-

-

6

8

225

243

광주

7

3

-

7

4

415

436


□ 3개 특구 기업구분

(단위 : 개)

구분

대기업

중소기업

코스닥

등록기업

벤처

인증기업

이노비즈

인증기업

대덕

64

1,115

24

589

377

대구

5

220

12

120

67

광주

3

412

6

228

112


□ 대덕특구 연구소기업 및 첨단기술기업 현황

                                         (단위 : 개)                                  (단위 : 개)

구  분

2006

2007

2008

2009

2010

 

구 분

2007

2008

2009

2010

연구소기업 수

2

6

12

17

20

 

첨단기술기업 수

36

63

84

93



□ 매출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대 덕

2,563,893

6,706,454

9,928,319

11,237,907

12,291,634

17,684,278

대 구

-

-

-

-

-

3,608,859

광 주

-

-

-

-

-

6,649,658


□ 수출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대 덕

대 구

광 주

수출액

3,036,244

785,374

153,751


□ 대덕특구 인력현황

(단위 : 명)

구 분

연구인력

박사

석사

학사이하

2010

9,055

9,736

5,644

24,434

2009

7,661

8,191

4,670

20,522

2008

6,783

7,253

4,173

18,209

2007

6,800

7,669

4,327

18,796

2006

6,495

9,145

2,892

18,532

2005

6,236

7,561

2,962

16,759

 * ‘10년 전국 연구인력 중 박사학위 대비 대덕특구 박사인력 비중 11.1%

  - 전국기준 박사학위 연구인력 수 81,442(출처:2010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교과부)


□ 대구, 광주특구 인력현황

(단위 : 명)

구 분

연구기술직(A)

박사

석사

학사이하

대구

4,239

2,052

1,441

7,732

광주

2,828

1,084

1,016

4,928



□ 대덕특구 학위별 인력현황

(단위 : 명, %)

구 분

합계

박사

석사

학사

기타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전체

24,434

 

100.0

 

9,055

 

37.1

 

9,736

 

39.8

 

5,345

 

21.9

 

299

 

1.2

 

공공기관

11,256

 

46.1

 

5,266

 

46.8

 

4,663

 

41.4

 

1,247

 

11.1

 

80

 

0.7

 

대학

3,071

 

12.6

 

2,376

 

77.4

 

409

 

13.3

 

282

 

9.2

 

4

 

0.1

 

대기업

4,594

 

18.8

 

836

 

18.2

 

2,759

 

60.1

 

913

 

19.9

 

86

 

1.9

 

중소기업

5,514

 

22.6

 

577

 

10.4

 

1,905

 

34.5

 

2,903

 

52.6

 

129

 

2.3

 

      □ 대구특구 학위별 인력현황

(단위 : 명, %)

구 분

합계

박사

석사

학사

기타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전체

 7,732

 

100.0

 

 4,239

 

 54.8

 

 2,052

 

 26.5

 

 899

 

 11.6

 

 542

 

 7.0

 

공공기관

 122

 

1.6

 

 35

 

 28.7

 

 62

 

 50.8

 

 25

 

 20.5

 

 -

 

 -

 

대학

 6,474

 

83.7

 

 4,136

 

 63.9

 

 1,696

 

 26.2

 

 184

 

 2.8

 

 458

 

 7.1

 

대기업

 266

 

3.4

 

 7

 

 2.6

 

 48

 

 18.0

 

 189

 

 71.1

 

 22

 

 8.3

 

중소기업

 870

 

11.3

 

 61

 

 7.0

 

 246

 

 28.3

 

 501

 

 57.6

 

 62

 

 7.2

 

       □ 광주특구 학위별 인력현황

(단위 : 명, %)

구 분

합계

박사

석사

학사

기타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전체

 4,928

 

100.0

 

 2,828

 

57.4

 

 1,084

 

22.0

 

 958

 

19.4

 

 58

 

1.2

 

공공기관

 487

 

9.9

 

 129

 

26.5

 

 156

 

32.0

 

 202

 

41.5

 

 -

 

0.0

 

대학

 3,529

 

71.6

 

 2,630

 

74.5

 

 615

 

17.4

 

 266

 

7.5

 

 18

 

0.5

 

대기업

 5

 

0.1

 

 1

 

20.0

 

 1

 

20.0

 

 3

 

60.0

 

 -

 

0.0

 

중소기업

 907

 

18.4

 

 68

 

7.5

 

 312

 

34.4

 

 487

 

53.7

 

 40

 

4.4

 

 □ 대덕특구 연구개발비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연구개발비

1,813,117

3,593,451

5,036,327

5,406,568

5,406,568

6,546,319

 * ‘10년 전국 연구개발비 대비 대덕특구 연구개발비 14.9%

  - 전국기준 연구개발비 43조 8,548억원(출처:2010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교과부)

□ 대구, 광주특구 연구개발비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대 구

광 주

연구개발비

404,751

358,390

□ 특구 기관별 연구개발비 현황

(단위 : 백만원, %))

구분

대 덕

대 구

광 주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전체

6,546,319

 

100.0

 

404,751

 

100.0

 

 358,390

 

 100.0

 

공공

기관

4,495,945

 

68.8

 

21,463

 

5.3

 

 51,587

 

 11.4

 

대학

366,145

 

5.6

 

260,446

 

64.3

 

 241,279

 

 67.3

 

대기업

1,325,836

 

20.3

31,819

 

7.9

 

 5,402

 

1.5

 

중소

기업

358,393

 

5.5

91,023

 

22.5

60,122

 

16.8

 

□ 대덕특구 연구성과

(단위 : 건, 백만원)

구 분

국내특허(누적)

해외특허(누적)

기술이전건수

기술이전료

출원

등록

출원

등록

2010

80,432

39,052

32,779

9,005

778

110,319

2009

66,764

32,664

28,822

7,684

910

109,394

2008

55,154

30,737

20,492

6,544

974

95,723

2007

46,355

29,193

17,893

5,978

815

77,798

2006

46,333

27,165

17,695

6,584

723

61,205

2005

41,368

22,625

15,872

5,935

611

52,408

□ 대구, 광주특구 연구성과

(단위 : 건, 백만원)

구 분

국내특허(누적)

해외특허(누적)

기술이전건수

기술이전료

출원

등록

출원

등록

대구

3,625

2,412

356

41

95

1,295

광주

3,811

2,342

980

318

117

4,470

□ 대덕특구 특허 현황

(단위 : 건, %)

구 분

출원

등록

국내

비율

 

국제

비율

 

국내

비율

 

국제

비율

 

합계

10,525

 

100.0

 

3,854

 

100.0

 

4,953

 

100.0

 

1,535

 

100.0

 

공공기관

5,244

 

49.8

 

2,364

 

61.3

 

2,328

 

47

 

728

 

47.4

 

대학

1,321

 

12.6

 

239

 

6.2

 

555

 

11.2

 

85

 

5.5

 

대기업

2,985

 

28.4

 

859

 

22.3

 

1,309

 

26.4

 

627

 

40.8

 

중소기업

974

 

9.3

 

392

 

10.2

 

761

 

15.4

 

95

 

6.2

 

□ 대구특구 특허 현황

(단위 : 건, %)

구 분

출원

등록

국내

비율

 

국제

비율

 

국내

비율

 

국제

비율

 

합계

924

100.0

107

100.0

438

100.0

12

100.0

공공기관

8

0.9

-

-

42

9.6

-

-

대학

592

64.0

59

55.1

222

50.7

7

58.3

대기업

59

6.4

4

3.7

27

6.2

-

-

중소기업

265

28.7

44

41.1

147

33.6

5

41.7

 □ 광주특구 특허 현황

(단위 : 건, %)

구 분

출원

등록

국내

비율

 

국제

비율

 

국내

비율

 

국제

비율

 

합계

837

 

100.0

 

224

 

100.0

 

518

 

100.0

 

78

 

100.0

 

공공기관

93

 

11.1

 

44

 

19.6

 

49

 

9.5

 

38

 

48.9

 

대학

502

 

60.0

 

150

 

66.8

 

264

 

50.9

 

31

 

39.9

 

대기업

-

-

-

-

-

-

-

-

중소기업

242

 

28.9

 

30

 

136

 

205

 

39.6

 

9

 

11.1

 

      □ 논문실적

(단위 : 건)

구 분

국 내

해 외

SCI급

비SCI급

대 덕

7,939

6,974

1,143

대 구

3,936

3,030

194

광 주

3,804

3,680

567



반응형
반응형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가 2011년 특구기술사업화사업 지원 대상 신규과제 15개를 선정했습니다.

이번에 선정된 15개 과제에는 2년간 120억 원을 투입해 ▲사업화 추가기술개발 ▲마케팅 ▲사업화 컨설팅 ▲특허 출원 등 기술사업화 주요 분야를 집중 지원하게 됩니다.

이번 신규과제 선정과정은 IT, BT, NT 등 분야별 기술 및 사업화 전문가가 평가한 결과를 '기술사업화위원회'에서 심의해서 결정했습니다.' height=261>이번에는 독보적인 기술력과 사업모델을 가진 과제가 다수 선정됐습니다.

대표적으로 '중 에너지 이온산란 및 Direct Recoil 시스템 사업화'(한국표준과학연구원 보유 기술)는 세계 최초로 개발된 TOF 방식의 소형 MEIS 기술을 상용화하여 세계 반도체 및 나노소재 정밀분석 시장에 진입할 계획입니다.

'산소 발생 기제를 이용한 산소호흡기구 사업화'(한국생명공학연구원 보유 기술) 과제는 기존 필터방식 방독면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화학반응기술을 응용했습니다.

'오존버블을 활용한 고효율 평형수 처리장치 사업화'(한국기계연구원 보유 기술)은  국제해사기구(IMO)의 강화된 성능기준에 대응하여 선박의 평형수로 인한 해수오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번 사업으로  특구본부는 해당 사업종료 후 약 7400억원에 달하는 신규매출 창출을 목표하고 있으며, 특허 등을 포함한 지식재산권 약 40여 건도 확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011년 특구기술사업화사업 신규과제 선정현황

구분

과제명

기술보유기관

특구기술
사업화

오존버블을 활용한 고효율 평형수 처리장치 사업화

한국기계연구원

초소형 비냉각 열영상 카메라 센서모듈 사업화

KAIST 나노종합팹센터

단일 시트 플렉서블 웨이브가이드 모듈 사업화

한국과학기술원

마이크로 압력센서 활용 스마트 센서 사업화

한국기계연구원

300℃미만 저온소성 무기세라믹 코팅기술 사업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반도체 게이트 산화막과 Ultra Shalow Junction
분석을 위한 compact 비행시간 - 중 에너지
이온산란 및 Direct Recoil 시스템
(TOF-MEIS/DR) 사업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0.2MeV 전자빔을 이용한 50nm급 나노 Ag입자 및
30㎛급 Pattern용 Paste사업화

한국원자력연구원

미세기공을 이용한 후막형 반도체식 가스센서 사업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위치식별 정보 기반 실시간 스마트 감시/추적 시스템 사업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10기가급 DDoS 방어 및 컨텐츠 보안시스템 사업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50 kVp급 고에너지를 이용한 3D 단층촬영 장치 사업화

한국과학기술원

자동차 안전구난을 위한 eCall단말기 사업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0나노급 나노임프린트 기술기반의 LED 조명용
Quantum Dot 웨이브가이드 사업화

한국화학연구원

특구간
연계기술
사업화

산소 발생 기제를 이용한 산소 호흡기구 사업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Protocol 및 ONVIF 기능을 갖는 융합형 무선영상
 보안시스템 사업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응형
반응형

지식경제부와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가 2011년 기술 시장 검색서비스 및 기술이전 사업화 상담 서비스를 수행할 고경력 은퇴과학자를 모집합니다.

이번 사업을 운영하는 특구본부가 대덕 TBC내 기술탐색데스크와 유망기술정보센터에서 공공 연구기술 자체를 시장에 노출시키고, 은퇴과학자를 활용하여 기술애로 및 사업화 상담과 현장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비즈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고객 지향의 지원체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모집 예정인 고경력 은퇴과학자는 전기 전자, 정보통신, 바이오 의료, 기계 로봇, 에너지 자원, 나노 소재 등 6개분야 7명내외입니다.

지원자격은 국내 공공연구기관, 과학기술 관련단체 및 기관, 대학교, 기업연구소 등에서 퇴직한 만55세 이상인 연구자입니다.

처우는 특구본부 전문위원 직위를 부여(비상근)하고, 상담 및 정보분석 활동에 대한 월별 수당과 활동비를 지급받게 됩니다.

이번에 초빙될 전문위원들은 4.27일 특구본부 TBC 내 대덕사이언스나눔터 개소식과 발 맞추어, 전략 산업분야의 전문화된 시장/기술 정보 제공과 지역특화센터의 기업지원 정보(장비활용, 기술, R&D 지원 정보 등) 등 지역의 중소 벤처기업 정보 창구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11년도 기술탐색데스크 은퇴과학자 추진계획

 

  . 사업개요 

□ 사업내용

○ 고경력 은퇴과학자를 활용하여 기술/시장 검색 서비스 등의 서비스 제공과 기술애로/사업화 상담‧현장연계로 고객지향의 지원체계 구축

- 특구내 기업에게 연구개발, 기업성장 등에 필요한 기술‧시장, 특허 정보 검색서비스의 제공

- 전문 분야별 기술애로/사업화 상담 및 현장연계 

□ 사업시행기관 :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 사업기간 : 2011년 5월 ~ 2012년 1월 

. 추진개요 

□ 모집분야 및 지원자격

○ 국내 공공연구기관, 과학기술관련 단체 및 기관, 대학(교), 기업연구소 등에서 퇴직한 만55세 이상인 자로서, 타 기관에 정규직 또는 상근직으로 근무하지 않는 다음 각호에 해당하는 과학자

- 공공연구기관에서 부장급으로 퇴직한 과학자

- 대학(교)에서 정교수급 이상으로 퇴직한 과학자

- 산업체에서 연구 및 기술개발 담당 이사급 이상으로 퇴직한 과학자

- 연구개발경력 30년 이상인 과학자

* 단, 고용보험 미가입자,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은 자, 타 과학기술기금사업에 참여하고 있지 않는 자에 한함

직 종

전 공

인원

전 공

인원

전 공

인원

기술분석 및 상담

전문위원

전기‧전자

0명

바이오‧의료

0명

에너지‧자원

0명

정보통신

0명

기계‧로봇

0명

나노‧소재

0명

□ 처우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전문위원 직위 부여(비상근)

상담 및 정보분석 활동에 대한 월별 수당과 활동비 등 지급

* 수당은 월 100만원 이상 지급, 실적수당은 성과에 따라 별도 지급(최대 3백만원)

* 산업분야별 협의체를 구성하여 정기적 교류회 운영 시, 회의비 별도 지원

* 세부활동은 연구개발특구 기술탐색데스크 전문위원 선정 후 협의

□ 모집인원 : 7명 내외

□ 모집기간

○ 접수기간 : 2011. 4. 19 ~ 2010. 4. 24

선정 심사 : 2010. 4. 25일(예정)

※ 선정심사위원회 심사 후 개별통지 

Ⅲ. 제출 서류 및 문의처 

□ 제출서류 : 신청양식(인적사항, 연구실적, 자기소개서)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홈페이지(www.kicf.or.kr) 본부공지-공지사항에서 신청양식 을 내려 받아 작성

□ 제출방법

E-mail 접수 : bluindigo@kicf.or.kr

○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홈페이지(www.kicf.or.kr)를 통해 접수

○ 우편 및 방문접수

우) 305-340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123번길 27-5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사업기획팀 기술탐색데스크 담당자 앞

 □ 접수 문의처

○ 특구본부 대덕기술사업화센터 사업기획팀

○ 유진혁 선임(042-865-8861), 윤병한 팀장((042-865-8860)


반응형
반응형

<전문>

사랑하는 대덕특구 구성원 여러분,

웬지 가슴 설레고 좋은 일이 많이 생길 것 같은 신묘년(辛卯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여러분들이 소망하는 모든 일을 성취하시고 가정마다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올해는 1월말로 예상되는 특구 추가지정, 위상이 강화된 국과위의 가동과 출연연의 개편 등  우리에 영향을 줄 대내외적인 많은 변화가 있을 것입니다.

 특히 제2차 특구육성종합계획의 추진의 첫해로서 연구개발특구의 신성장동력 창출과 지역경제에의 기여 등  국가와 지역사회의 기대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여건변화에 대덕특구는 역량을 제고하면서, 효율적이고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대응해 가야하는 막중한 사명감을 갖고 있습니다.

산학연 혁신 클러스터로서 연구개발 특구의 미션은 기술-자본-인력-전문서비스 등 기술사업화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 확충하여, 기술-창업-성장이 선순환하는 벤처생태계를 조성해나가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대덕특구본부는

우선 기존 공급자중심의 기술보다는 기업 수요와 시장이 견인하는 기술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사전기획과 R&BD지원 연계시스템을 확립하는 한편,

연구소기업 등 공공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하는 기술창업을 촉진하고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프로그램을 대폭 강화하여 첨단 강소기업, Hidden Champion의 성공사례를 만들어 갈 것입니다.
둘째, 창업에서 성공까지의 기술사업화 전주기에 대한 패키지형 일괄 지원 프로그램을 발전 보완시켜 나갈 것입니다.

TBC내에 서비스 지원기능을 보다 집적화하고, 올해 준공되는 연구생산 집적시설을 활용하여 시제품 제작에서 시험,인증까지 통합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시너지효과를 창출할 것입니다.

특히, 그동안 미흡했던 기술금융 공급 확충방안을 마련 시행하고, 좋은 성과가 나오고 있는 R&BD와 디자인의 연계사업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셋째, 작년 IASP총회의 성공적 개최를 기반으로 금년 5월 개최될 ICIC를 통해 세계 혁신클러스터間 네트워크 장을 발전시키고, 한국형 STP의 성공모델 전수사업을 확대시켜 실질적 글로벌 교류협력 사업도 가시화 되도록 할 것입니다. 
넷째, 조만간 예정된 연구개발특구 추가지정과 관련해서는 Hub-Spoke에서의 허브기능을 수행하고, Spoke-Spoke간 연계? 협력을 통한 특구 R&D 성과 파급효과 극대화를 유도해가면서,

대덕의 핵심역량에 기반을 둔 융복합 기술을 중심으로 한 차별화를 추진해 갈 것입니다.

특구본부도 작지만 강한 조직으로 재탄생하며, 특구 추가 지정과 Governance 변화에 맞춰 혁신 클러스터를 선도하는 전문지원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전문성 제고와 조직역량 강화를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대덕특구 구성원 여러분

새해를 맞아 '동심동덕(同心同德)'의 자세로 '소통' 그리고 '변화'를 제시하고자 합니다.

대덕특구 산학연 구성원간 네트워크 강화와 일체감 형성을 통하여 단절감을 해소하고, 기술과 정보, 사업의 교류로 가치를 창출하는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특구본부가 열정을 가지고 역할을 다해 나가겠습니다.

유명한 GE사의 전 회장 잭 웰치는 지속적인 변화와 혁신에 대해 ' 삶은 개구리'에 비유했습니다.
물의 온도를 즐기다가 변화를 감지 못해 삶아져 죽는다는 것으로 현실에 안주하다 뜨거움을 느낄 때는 이미 늦는다는 것입니다.

2011년, 변화하는 대덕특구를 만들어 갑시다.
변화를 두렵고 어려운 것으로만 생각하지 말고, 작은 일부터 변화해 나갑시다.

신묘년 새해 행운과 건승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11. 1. 3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이사장 이 재 구

반응형
반응형

대덕특구 첨단기술의 사업화 첨병을 맡고 있는 연구소기업에 대한 전략적 육성사업이 시작됩니다.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올해 하반기 총 7개의 전략육성 연구소기업을 선정하고, 상용화개발과 현장애로, 마케팅, 디자인 등 사업화 단계별 지원을 통해 연구소기업을 육성할 방침을 세웠습니다.

연구소기업 제도는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연구성과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2006년 3월 도입된 제도로서, 올해로 제도시행 5년차를 맞고 있습니다.

대덕특구본부는 이와 관련해 이번에 선정된 7개의 연구소기업에 대하여 성장의 실질적 지원이 가능하도록 추가상용화 자금을 2년차에 걸쳐 최대 15억 원까지 지원함으로써,  타겟시장 조기진입 및 안정적 성장을 유도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대덕특구본부는 이번 연구소기업의 전략적 육성사업 도입에 앞서 제도 개선 등을 통해 연구소기업 설립을 활성화시켜 왔습니다.


   【제도 개선】

    1. 공공연구기관이 '신기술창업전문회사', '산학협력기술지주회사' 등을 통해 연구소기업을 설립할 수 있도록 개정
    2. 연구소기업의 사전 설립승인제를 사후 등록제로 전환해 행정절차 간소화
    3. 특구안으로 한정된 공공연구기관의 지역범위 완화, 설립주체 확대
    4. 연구원의 휴?겸직 허용, 출연硏 연구자의 기술개발 및 상용화 지원가능


   【세제지원】

    1. 국세 : 소득발생 뒤, 3년간 법인세/소득세 100% 감면, 이후 2년간 50% 감면
    2. 지방세 : 설립 후 7년간 100% 감면, 이후 3년간 50% 감면


   【평가지원】

    1. 목적 : 공공연구기관의 보유기술에 대한 기술가치?타당성평가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해 연구소기업의 설립을 촉진
   - 2. 현황 : 총28건에 6억 6천여만원 지원, 현재 20개의 연구소기업 설립지원



 

 연구소기업이란

 o "연구소기업"은 연구개발특구 안의 국립연구기관 및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자신이 보유한 기술을 직접 사업화하기 위하여 자본금 가운데 20퍼센트 이상을 출자하여 특구 안에 설립하는 기업
(대덕연구개발특구등의육성에관한특별법 제2조 제5호)


□ 지원제도

 o 세제지원

   - 국  세 : 법인세/소득세 3년 간 100%, 이후 2년간 50% 감면

   - 지방세 : 취득세?등록세는 면제, 재산세는 설립 후 7년간 100%, 이후 3년간 50% 감면
 
 o 기술가치평가비용 지원

   - 연구소기업 설립을 목적으로 보유 기술에 대하여 전문평가기관으로부터 기술가치평가(사업타당성 평가를 포함)를 받는 경우에 3,000만원 한도 내에서 소요비용의 90%까지 지원
 
 o 연구소기업 전략육성 사업

   - Star 기업을 발굴해 상용화개발, 현장애로, 마케팅 등 사업화 단계별 지원을 통해 연구소기업에 대한 전략육성 내실화

   - 추가상용화 개발사업은 1차년/2차년으로 나눠 진행하며 1차년도 500백만원, 2차년도 1000백만원으로 과제당 최대 1,500백만원 지원

 

< 연구소기업 설립현황 >

No

기관명

기업명

설립년도

지분율

사업분야

‘09매출

(‘08년)

인원

현황

내용

6T

1

원자력

선바이오텍

‘06.3

37.8%

식‧의약품, 화장품

BT

200억

(100억)

18명

2

표준

재원티앤에스

‘07.5

38.7%

세라믹 부품소재

ET

1억

(5천)

6명

3

ETRI

오투스

‘07.7

20.0%

텔레매틱스 분야

IT

7억

(10.4억)

19명

4

ETRI

매크로그래프

‘07.7

20.0%

영상 특수효과(CG)

CT

18억

(12억)

60명

5

생명

메디셀

‘07.12

44.5%

바이오 신약개발

BT

임상

단계

8명

6

KAIST

엠피위즈

‘08.7

32.8%

음성인식 응용제품

IT

1.5억

(1.3억)

8명

7

기계

제이피이

‘08.10

21.2%

광학필름, 성형롤

ET

15억

(2.8억)

13명

8

ETRI

비티웍스

‘08.10

20.0%

인터넷ID관리

IT

15억

(18.9억)

14명

9

ETRI

테스트마이다스

‘08.10

20.0%

SW테스팅

IT

10억

(5.3억)

8명

10

ETRI

지토피아

‘08.12

22.7%

GIS시스템, 솔루션

IT

10억

(14억)

10명

11

생명

미코바이오메드

‘09.6

40.6%

나노바이오센서

NT

초기

3명

12

KAIST

라스테크

‘09.6

25.5%

원격제어 로봇

IT

7억

20명

13

ETRI

Gphoton

‘09.6

30.5%

광송수신 시스템

IT

초기

11명

14

원자력

서울프로폴리스

‘09.7

21.0%

생물학적 제제

BT

15억

11명

15

ETRI

디엠브로

‘09.10

30.3%

DMB응용시스템

IT

초기

5명

16

화학

케이에너지

‘09.10

33.3%

다결정실리콘장비

ET

초기

7명

17

ETRI

쓰리디누리

‘09.12

33.3%

3D입체영상

CT

초기

7명

18

표준연

바우

‘10.8

40.0%

다층 가진기 개발

NT

초기

5명

19

ETRI

쏘그웨어

‘10.12

81.1%

게임서버 부하테스트

IT

초기

3명

20

ETRI

스마트큐

‘10.12

50.0%

DTV셋톱박스 개발

IT

초기

4명




 

반응형
반응형

창문에 비친 햇빛으로 전기를 만든다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유리와 유리 사이에 칠한 특수한 염료가 마치 식물이 광합성을 하듯 태양광을 전기로 전환시키는 기술입니다.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전략 R&D사업의 지원을 받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창호가 건자재로써 사용이 가능토록 개발됐습니다.

창호

이번 개발품은 투명컬러 형태의 유리창 구현이 가능하고 흐린 날에도 발전할 수 있는 등 기존의 실리콘계 태양전지에 비해 BIPV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번에 개발된 제품은 지식경제부가 대덕특구본부의 전략산업R&D사업을 통해 사업화를 지원해 개발된 것으로 ETRI와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동진쎄미켐, 비즈니스전략연구소 등 6개 기관이 참여한 산학연 연계 협력 형태로 진행됐습니다.

이번 개발에서 화학연구원은 세계 최고 성능의 고순도 염료(N719)의 대량 합성 및 정제기술을 확보했습니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로 만든 자동차용 썬루프

또 에너지기술연구원은 장기 안정성이 확보된 젤형 전해질 기술을 완성했습니다.

또한 동진쎄미켐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수명과 효율과 직결되는 핵심기술인 셀기술에서 11%대의 광전변환효율 수준을 확보했습니다.

건자재 업체 이건창호에 따르면 대덕특구본부 전략산업 R&D사업을 지원받아 최근 생산한 태양전지 창호 시제품이 자체 건자재 시험테스트를 통과해 국내 최초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창호의 건자재 적합성을 확인했는데요.

이건창호는 이와 관련하여 양산 계획 등 시장 진입 시기를 조절하면서 자체적 상용화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용  어  설  명

BIPV(Building Interated Photovoltatics) :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창문형태로 많이 활용)




반응형
반응형

대덕특구는 국가 R&D(연구개발)의 중추를 담당하며 대한민국의 미래 먹을거리를 책임지고 있다.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이하 대덕특구본부)는 이런 대덕특구의 연구개발성과의 사업화와 기술 네트워크 구축, 상호교류, 투자유치 등을 지원·조율하는 중책을 맡고 있다.
대구와 광주의 특구 지정 등 갈수록 복잡해지는 구도 전개 속에 대덕특구본부의 새 지휘봉을 잡은 이재구(52) 신임 이사장의 생각을 들어본다.

 

-취임 소감과 취임 후 경험한 대덕에 대한 느낌은.

"먼저 우리나라 과학발전의 중추인 대덕특구본부 이사장을 맡게된 것을 큰 영광으로 생각하고, 동시에 막중한 사명감도 느낀다. 대덕과 특구본부에 대한 지역사회의 다양한 의견이 있었던 것을 잘 알고 있다. 특히 우려의 시각은 특구에 대한 애정과 관심으로 알고, 특구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라는 뜻으로 받아 들이고 있다. 앞으로 열정을 갖고 산학연 관계자 등과 자연스럽게 교감하며 발전방안을 찾아갈 것이다. 취임 후 아직 얼마 안지났지만 대덕특구가 매우 쾌적하고 아름다운 환경을 갖췄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

-기획재정부 출신이지만 나름대로 특구와 관련된 경력을 쌓았다는데.

"특구에 관련된 전문성에 관해 KAIST에서 기술·R&D관리에 관한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업무적으로도 제6차 5개년 계획 과학기술부문과 벤처캐피탈 활성화방안, 기술개발 지원제도 개선방안 수립과 신성장동력 발굴 등 과학기술과 산업정책 분야의 전문 업무를 수행해 왔다. 때문에 과학기술이나 R&D분야의 업무에 나름 익숙하다. 또 대전은 젊은 시절 행정고시를 합격한 후 6개월 정도 교육을 받았던 인연이 있고, 대덕특구도 과거 과학기술 정책분야 업무를 담당하면서 자주 방문해 웬지 친숙하다."

-그동안 보고 들었던 대덕특구의 강점은.

"대덕은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메카로써 30년 이상 투자된 국가 최고의 연구역량이 집중돼 있고, 또 많은 잠재적 비즈니스파트너가 존재하는 곳이다. 특히 국가 연구소 30여 곳 한곳에 집적돼 있고 세계적인 박사급 연구인력도 6000명이 넘는 등 3만 명 이상의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민간연구소 70여 개와 5개의 대학, 1000개가 넘는 기업 등이 있어 비즈니스 시너지 창출도 도모할 수 있다고 본다. 또 지리적으로는 수도권과 영·호남 어느 곳이던 접근성이 높아 인력과 물류, 유통 등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국가 혁신 시스템(NIS)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기 위한 최적지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대덕특구의 단점으로 지적할만한 것은.

"대덕특구는 국내 최고의 연구인력과 기관 등 혁신 역량이 지리적으로 집적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성원간의 네트워크와 연대의식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특구 내부 구성원 간의 단절성 보완과 네트워크를 강화가 필요하다. 세계 초일류 혁신클러스터는 기업과 연구기관, 대학 등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경제의 성장동력을 창출하고 있다. 단순 지식이나 정보공유의 교류, 협력체제를 넘어 산학연 네트워킹을 강화해 대덕특구 구성원간에 강한 일체감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네트워킹 사업의 대상과 예산을 확대 지원해 구성원들의 참여와 소통을 활성화시킬 계획이다. 또 이 부분은 대덕특구본부 본연의 기능으로써 강화돼야 할 사업이라고 생각한다."

 -이사장 임기 중 중점적으로 추진할 사업을 꼽는다면.

"대덕특구는 지난 5년간 축적한 양적 성장과 노하우로 상당한 기반이 조성된 것이 사실이며, 앞으로는 대덕특구의 도약기라고 생각한다. 이를 통해 대덕특구가 기술전반에 걸쳐 국가혁신시스템의 허브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IT나 BT, NT 등의 융복합 분야를 중심으로 대덕특구만의 차별성을 유도하도록 방향을 잡을 계획이다. 신기술 사업화능력 제고와 자생력 확대, 글로벌 역량강화 등을 통해 대덕특구가 세계적 혁신클러스터 도약하도록 견인해 나가고자 한다. 또 기술과, 사람과, 정보와, 자본이 어우러지고, 생동감 있는 대덕특구를 만들어 갈 것이다. 이를 위해 산학연을 연계하는 기술사업화 지원기능을 대폭 강화해 세계적 사업화 전문기관으로 도약시킬 것이다. 대덕을 기업가 정신이 살이 숨쉬고 모험정신을 가진 인재들이 모여드는 벤처 요람으로 육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테크비즈센터와 연구생산 집적시설 등을 연계한 전주기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벤처지원시스템 구축해 대덕이라는 공간과 구성원간의 유기적 네트워킹과 일체감 조성하고 싶다."

-갈수록 대덕특구본부의 예산이 축소되고 있다는 우려가 있는데.

"그동안 특구 지정 이후 대덕테크비즈센터와 내년에 준공 예정인 연구생산집적시설 등 하드웨어나 인프라적인 부분에 예산이 많이 늘어났다. 그러나 이 부분이 완료되면서 예산이 줄어들고 있는 것처럼 보일수 있으나, 신기술 사업화 등 소프트웨어적 예산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특구본부의 경우 전체적 예산규모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예산의 내용과 예산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하는가도 중요하다. 하드웨어적인 부문은 어느 정도 완성됐다고 보고,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좋은 사업 프로그램을 만들어 예산을 확보 집행하도록 노력할 것이다."

-광주, 대구의 특구지정이 추진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덕특구의 차별화 전략은?

"특구지정은 국가 및 지역이라는 관점에서 R&D특구를 바라봐야할 것이다. 일단 올 연말이나 내년 초 대구와 광주가 특구로 지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대덕은 국가 과학클러스터의 허브이며 인력이나 연구기관들의 경쟁력을 가진 곳인 만큼 NIS의 허브로 확실히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회로 생각한다. 대구와 광주가 대덕과 경쟁하면서 대덕의 위상이 축소될 것이란 우려도 있지만, 대덕이 허브 역할을 제대로 한다면 위상이 더욱 높아지는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국가 혁신시스템의 허브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IT나, BT, NT 등의 융복합 분야를 중심으로 대덕특구의 차별성을 유도하고 지역경제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방향을 잡아 갈 계획이다."

-대덕특구 벤처기업의 육성방안은?

"대덕특구가 기업가정신이 살아 쉼쉬는 벤처의 진정한 요람이 될 수 있도록 지원체계와 인프라를 강화해 나가는데 주력하겠다. 창업과 자금, 경영컨설팅, 디자인, 마케팅 등 전 프로세스에 걸친 기업별 맞춤형 통합지원 솔루션을 제공하되, 단계별 성과가 공유될 수 있도록 연계지원 체계를 확립할 것이다. 특히 대덕테크비즈센터와 내년 준공예정인 연구생산집적시설을 연계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고루 갖춘 서비스를 제공,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녹색성장, 거대복합, 첨단융합 등 신성장동력 분야의 R&BD 지원기능을 활성화시켜 첨단 스타기업과 강소기업 성공사례를 창출하겠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면.

"연구소기업의 성공은 공공연구성과의 사업화 측면에서도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 연구소기업 성장지원 프로그램을 재점검하고 발전방안을 찾아갈 것이다. 차별성있게 제도적으로 뒷받침되고 있는 연구소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해 첨단 스타기업을 창출하도록 지원할 방침을 갖고 현재 연구소기업 성장지원 프로그램을 재점검하고 발전방안을 구상 중이다. 기업측면에서는 새로운 먹거리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하게 되는데, 향후 시장에서 먹힐 수 있는 신규 아이템 발굴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벤처의 자생력을 키우고 골프존과 같은 제2, 제3의 강소기업이 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덕특구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이나 사업은.

"이미 구축된 선진 클러스터와의 네트워크를 강화해 실질적 성과를 창출하고 협력사업을 수행해 나갈 것이다. 대덕특구는 출범 후 특구본부가 6개의 공동 R&D센터를 설립했으며, 최근 핀란드 VTT KOREA본사의 대덕이전, 내년 상반기 가인정보기술과 노르웨이 파네다와 공동R&D센터 설립 확정 등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는 실질적 국제협력에 중점을 두고, 대덕특구 모델이전 지원사업의 내실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STP모델 전수는 개도국을 대상으로 국가적 차원에서도 의미있는 사업이며, 공공의 영역에 있는 특구본부가 사업을 실질적으로 수행하기에 적합한 사업이다."

-끝으로 대덕특구의 방향을 정립한다면.

"대덕특구가 국가혁신시스템의 허브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확실히 자리매김하고, 지역경제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조직의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다. 이를 위해 대덕특구의 산학연과지자체와의 연계·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촉매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도록 봉사정신과 열정의 자세로 다듬어 나가겠다. 대덕특구 발전을 위한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린다." 
 


- 이재구 이사장 프로필 -

□ 소속 및 직위 :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이사장

□ 생년월일 : 1958년 2월 20일 (만 52세)

□ 학력사항

ㅇ ‘73. 3 ~ ’76. 2 용산고등학교 졸업

ㅇ ‘76. 3 ~ ‘80. 2 서울대학교 경제학 학사

ㅇ ‘82. 3 ~ ’84. 2 한국과학기술원 경영과학 공학석사

ㅇ ‘03. 9 ~ ’06. 12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수료)

 

□ 경력사항

ㅇ ‘80. 05 ~ ’93. 10 경제기획원, 공정거래위 사무관/서기관

ㅇ ‘93. 11 ~ ’94. 02 공정거래위원회 기업관리과장

ㅇ ‘94. 03 ~ ’95. 08 국무총리실 경제조정관실 총괄과장

ㅇ ‘95. 08 ~ ’03. 05 공정위 규제개혁총괄과장, 기업집단과장, 독점정책과장, 하도급국 국장

ㅇ ‘03. 09 ~ ’05. 05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문위원

ㅇ ‘05. 06 ~ ’07. 01 기획예산처 정책홍보관리실 홍보관리관

ㅇ ‘08. 03 ~ ’09. 02 기획재정부 성장기반정책관

ㅇ ‘09. 02 ~ ’10. 07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 사무처장

ㅇ ‘10. 10 ~ 현 재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이사장


 

반응형
반응형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는 지난 16일부터 열린 중국 심천하이테크엑스포에 마련된 ‘대덕특구 단체형 전문전시회’를 통해 1500만 달러 이상의 계약을 체결하고 현지 유통·판매를 위한 양해각서 3건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중국 진출에는 태양에너지 휴대폰 충전기를 전시한 ㈜엘에스텍이 150만 달러의 납품 주문 및 현지 대리점유통 계약을 성사시키는 등 연 200만 달러 이상을 할 수 있는 중국시장 교두보를 마련했습니다.

또 광촉매를 활용한 필터장비를 제조생산하는 ㈜나노케미칼이 1000만 달러 규모의 제품 납품계약 추진을 성사시켰고, 무선 심박계 제품을 생산하는 ㈜두성기술은 연간 450만 달러 규모의 현지 제품생산 판매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대덕특구 토탈 디자인사업 성과물 전시에서도 ㈜화이트스파 소프트욕조와 ㈜원테크놀러지 탈모치료기, ㈜에어포인트 하이패스단말기 등이 현지 기업과 현지 판매유통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또 이번 전시회에서 사전 시장조사를 통한 정보를 수집을 강화하는 등 제품 전시와 함께 맞춤형 IR추진으로 제품 구매상담 등 1000여 건 이상의 실질적 상담이 이뤄졌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