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학산책/UST 5

제 17회 과학문화융합포럼 발제 '상상력과 융합 연구' 전문

얼마전 UST(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에서 제 17회 과학문화융합포럼이 '융합과 연구'를 주제로 열렸습니다. 이날 포럼에서 한양대 철학과 이상욱 교수가 '상상력과 융합연구'로 발제하고, 이어 UST-ETRI 캠퍼스 이성국 교수, KAIST 물리학과 정하웅 교수가 지정토론에 나섰습니다. 또 식전 행사로 중앙대 김형기 교수의 '과학과 예술' 발표가,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및 홍익대학교 학생들의 'Shadow of Life #2' 등 작품 전시가 있엇습니다. 이 가운데 이상욱 교수의 '상상력과 융합연구' 전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상력과 융합 연구” 이상욱(한양대 철학과) 1. 해당 주제의 현재 현황 우리나라의 기술개발과 이에 따른 경제성장은 세계적으로도 ‘교과서적 사례’로 기록될 수 있을 정도로 모방형..

과학산책/UST 2012.07.04

UST 2012 전기 학위수여식

17일 UST(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2 전기 학위수여식이 열렸습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는 박사 24명, 석사 63명 총 87명이 학위를 수여받았습니다. UST는 2006년 첫 졸업생 배출 이후 현재까지 박사 168명, 석사 406명 총 574명의 석박사를 배출했습니다. 이날 졸업생 중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은 물리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응용물리학회지(Applied Physics Letters)'에 1저자 논문 3편을 비롯해 학위기간 중 SCI급 저널에 1저자 논문 10편을 게재하고 국내외 특허 6건을 출원, 등록하는 등 뛰어난 연구성과를 보인 정유진 박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 캠퍼스, 나노재료공학)가 수상했습니다. 총장상은 강효진 박사(한국생명공학연구원 캠퍼스, 나노바이오공학)로, 화학 분야의 ..

과학산책/UST 2012.02.17

'201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된 UST 연구

UST 한국해양연구원 캠퍼스 강성균 교수팀의 '해양 초고온 고세균(NA1 ; 써모코커스 온누리누스) 이용 바이오수소 생산기술 개발' 연구가 '2011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생명 해양 분야에서 최우수 성과로 선정됐습니다. 이 연구는 단일 미생물이 수소를 생성함과 동시에 생체에너지를 만들어 증식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낸 것으로, 지난 해 9월 네이처지에 게재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현재 실용화 기술을 개발 중이며, 높은 효율로 수소를 생산해 경제성이 높고 고세균이 먹이로 하는 일산화탄소의 저감을 이끌어내어 환경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연구팀에는 UST 교수 6명, 박사과정 학생 2명이 참여했는데, 이중 배승섭 학생이 공동 1저자로 참여해 주목받았습니다..

과학산책/UST 2011.12.22

이은우 UST 총장 취임사 전문

UST(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는 최근 제3대 이은우 총장 취임식을 개최했습니다. 신임 이은우 총장은 부산대학교 기계설계학과를 졸업하고 미 콜로라도대에서 기계공학 석박사 학위를 수여받았습니다. 1993년부터 2010년까지 과학기술부에서 기계사무관, 공업서기관, 부이사관 등을 거쳐 교육과학기술부 국제협력 국장을 역임하였으며, 최근까지 국립중앙과학관장, 한국과학관협회장,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 한국위원회 위원장을 지냈습니다. UST는 2003년 개교해 29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대학 캠퍼스로 활용하고 있으며, 출연연 소속 박사 연구원 중 연구실적이 뛰어난 1000여명을 교수로 임용, 첨단 연구시설과 장비를 활용하는 특성화된 연구중심 교육으로 고급 석박사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여러분 반갑습니다. 제가 대덕에..

과학산책/UST 2011.12.12

2011 전기 학위수여식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는 2월 18일 교내 학술교류동 강당에서 2011년 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습니다. UST는 이번 학위수여식을 통해 박사 27명, 석사 65명 등 총 92명에게 학위를 수여했습니다. 이번에 학위를 취득할 박사들은 재학기간 동안 SCI급 논문 등재 편수가 1인당 평균 5.44편이며, 편당 논문인용지수(IFImpact Factor)는 2.5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이날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은 재학기간 동안 SCI급 논문 62편을 게재하고, 이 중 18편에 1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등 뛰어난 연구활동을 보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캠퍼스 소속의 노성운 박사(청정화학 및 생물학)가 받았습니다. SCI급 논문 최다 발표자가 된 노성운 박사는 논문게재 실적 외에도 '대용량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

과학산책/UST 2011.02.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