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과학기술자상 6월 수상자로 고려대 이상훈 교수가 선정됐습니다.
이상훈 교수는 화학적 성분과 모양의 조절이 가능한 100㎛ 이내의 극세사를 개발하고 의생물학적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이상훈 교수는 지난 10년 간 자연에서 거미가 거미줄을 생산하는 원리를 모방하여 마이크로 유체 칩(Microfluidics Chip)으로 극세사를 생산하는 연구를 지난 수행해 기존 패러다임을 뛰어 넘는 획기적인 기능성 극세사 생산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상훈 교수는 마이크로 유체 칩과 극세사 생산기술을 응용한 연구결과를 관련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Nature Materials, Stem Cells, Lab on a Chip, Biomaterials, Analytical Chemistry, Small 등 영향력 있는 SCI(E) 저널에 100여 편의 논문을 게재함으로써 재료 및 바이오 장비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발표한 논문들의 총 피인용 횟수는 1000회 이상 입니다.
이 같은 연구성과로 이 교수는 2001년 한국연구재단 주관 30대 우수 연구성과에 선정됐고, 2010년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등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또 2011 MRS, 2012 ISMM 등 다수의 국제 학회 연사로 초청 강연을 하는 등 국내외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 교수는 2010년 의료선진화 위원회 전문위원과 첨단의료 복합단지 의료기기 분야의 팀장을 역임했고, 지난해부터 'Biomedical Engineering Letters (Springer)'의 편집위원장 및 ISMM 대회장을 맡았습니다.
■ 곤충들은 자신의 생존에 필요한 알이나 실 등을 몸에서 쉽게 만들어내며, 이 과정에 최소한으로 에너지를 소모하고 환경에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모방한 물건을 생산한다면 현재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많은 환경 및 자원 등의 문제들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사안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곤충의 메커니즘과 유사한 새로운 개념의 생산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 교수는 마이크로 유체 칩을 이용하여 머리카락 굵기보다 3배 가는 극세사의 모양을 다양하게 만들거나, 물질 자체를 바꾸지 않고 마이크로 단위로 재배열함으로써 새로운 재료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간 조직 및 신경재생과 같은 조직공학이나 재생의학 등의 분야에서 그 응용이 무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관련 연구 성과는 2011년 11월 네이처의 대표적 자매지인 '네이처 머티리얼즈(Nature Materials)'에 발표되었습니다.
<이상훈 교수> ▶소속 : 고려대학교 생체의공학과● 학 력 ▶1979.3 ~ 1983.2 서울대학교 학사 (전기공학) ● 경 력 ▶1985 - 1992 서울대학병원 의공학과 연구원 |
'과학산책 > 한국연구재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주염 발생 원인 밝혀냈다 (0) | 2012.06.15 |
---|---|
폐수 처리하면서 전기도 만드는 미생물연료전지 (0) | 2012.06.08 |
이달의 과학기술자, 우주의 거대구조 발견한 이명균 서울대 교수 (0) | 2012.05.02 |
유전자 한 가닥만 자르는 유전자가위 (0) | 2012.04.30 |
해일에도 끄떡없는 홍합의 접착력, 사람 뼈 재생에 사용한다면 (0) | 2012.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