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한국한의학연구원(KIOM)이 스마트폰 등에서 한약재의 기원이나 학명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한약 기원 사전'을 만들어 웹사이트를 통해 일반 국민들에게 무료 배포했습니다.

최고야 박사팀이 개발한 '한약 기원 사전'은 한약재의 주 사용국인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북한 등의 공정서(약전)에 수재된 한약(생약)의 '기원' 내용을 총망라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동북아 각국에서 한약재로 쓰이는 동식물의 나라별 이름, 분류체계에 따른 학명, 라틴어 생약명과 영문 생약명, 약용부위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인터넷 포털 등에서 한약재의 이름을 검색할 경우, 잘못된 정보임에도 그 진위를 알 수 없을 때가 적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발간된 사전을 이용하면 각국 현행 공정서의 정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한국, 중국, 일본 등 각 국가별 공정서 내용을 한번에 볼 수 있어 국가별 한약재 기원 규정의 차이를 한눈에 알수 있습니다.

□ 이 사전의 표제어는 모두 1877건입니다.

'감초', '당귀' 등 한약재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약재의 기원 내용이 표시되는데, 표제어는 우리나라의 공정서인 '대한약전'과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의 약명을 우선 기준으로 했습니다.

또 우리나라나 중국에서는 확백이라고 하지만, 대만에서는 황벽으로 불리는 등, 동일한 약재라도 국가별로 약명을 달리 한 것은 각각 별도로 수록했습니다.

이 사전에 수록된 범위는 대한약전의 '의약품 각조 제2부' 중 복합제제를 제외한 품목, 대한약전외한약(생약) 규격집의 전 품목, 중화인민공화국약전의 '제1부 중약재', 일본약국방의 '의약품각조' 중 생약 전 품목, 중화중약전의 전 품목 등입니다.

□ 이 사전은 단독으로 작동되는 앱이 아니라 스타딕(StarDict) 호환 형식의 파일입니다.

스타딕은 윈도우, 리눅스, 안드로이드, iOS 등 다양한 사용환경에서 호환되기 때문에 중일사전, 영영사전 등 필요한 사전파일만 선택적으로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상업용 사전과는 달리 대부분의 사전파일이 무료로 배포되고 있습니다.

또 스타딕은 안드로이드 등 스마트폰에서 널리 쓰이는 범용 사전 형식으로, 기존에 컬러딕(ColorDict) 등 사전 앱을 사용하고 있다면 간단히 '한약 기원 사전' 파일만 추가함으로써 바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안드로이드 뿐만 아니라 아이폰이나 PC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포털업체 등에서 제공하는 사전과는 달리 한 번 설치하고 나면 인터넷 연결이 필요없으므로 데이터요금이나 통신장애를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한의학연은 향후 각국 약전의 개정사항을 반영하고, 함초·벌나무·죽염 등 공정서에 수록되지 않은 민간 약초에 대한 자료도 추가할 예정입니다.

컬러딕(ColorDict) 앱을 사용할 경우

워드메이트(WordMate) 앱을 사용할 경우



 

<수록 범위>

- 대한약전 제9개정 '의약품각조 제2부' 생약 등, 2007. 일부개정, 2010.
-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전 품목, 2007. 일부개정, 2011.
- 중화인민공화국약전 2005년판 '제1부' 전 품목, 2005. (중국)
- 중화인민공화국약전 2010년판 '제1부' 전 품목, 2010. (중국)
- 일본약국방 제15개정 '의약품각조' 생약 등, 2006. 일부개정, 2007.
- 일본약국방 제16개정 '의약품각조' 생약 등, 2011.
- 중화민국약전 제6판 생약 등, 2006. (대만)
- 중화중약전 전 품목, 2004. (대만)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약전 제5판 '고려약', 1996. (북한)


<호환되는 사전 앱>

안드로이드OS용
(갤럭시, 옵티머스 등)

WordMate(무료), ColorDict(무료) 등
(마켓에서 검색)

iOS용
(아이폰, 아이팟 터치 및 아이패드)

iStarDict(무료), GuruDic(유료), weDict(유료) 등
(앱스토어에서 검색)

PC용

StarDict(무료, http://www.stardict.org),
GoldenDict(무료, http://goldendict.org)

반응형
반응형

연예인들의 마약류 투입이 주기적으로 사회 문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한의학연구원이 대표적 마약류인 코카인 중독을 침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코카인은 전 세계적으로도 중독 재발을 억제할 수 있는 만족할 만한 방법이 없는 상황이어서, 이번에 개발한 치료방법이 더욱 주목받고 있는데요.  

마약 가운데 가장 강력한 마약으로 꼽히는 코가인에 중독되면 각성과 심리적 행복감, 자신감 증가 등의 현상이 있는데요.

금단 시에는 초조, 우울 증상이 나타나고 장기 사용시 환각과 피해망상 등 매우 위험한 상태에 이르게 됩니다.
 
한의학연구원 침구경락연구센터 최선미 박사팀과 대구한의대 양재하 교수팀은 '전통침술의 코카인 중독재발 치료효과 및 메카니즘 연구'를 수행했는데요.

양재하 교수

최선미 박사



만성 코카인 투여로 중독된 쥐를 대상으로 동물실험을 실시한 결과, 침이 스트레스로 인한 코카인 흡입 재발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연구팀은 코카인을 먹은 쥐에게 외부에서 육체적 쇼크를 주면 스트레스를 받아 쥐가 스스로 코카인을 흡입하게 되는 코카인 자가 투여 실험 모델을 조성했는데요.

침 시술 후 코카인 자가 투여 행동 억제 효과를 관찰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실험에서 침 시술에 사용된 신문혈은 불안, 놀람 등 정신 신경성 질환에 신경 안정 효과 목적으로 한방 침 치료에서 사용하는 혈자리입니다.

등을 바닥에 댄 쥐(rat,왼쪽)와 배를 바닥에 댄 쥐의 신문혈 위치


위치는 손바닥 손목주름에 새끼 손가락 쪽으로 있는 두 힘줄 사이입니다.

실험 결과 신문혈 침 자극을 한 쥐는 침 자극을 하지 않은 쥐와 구별되게 코카인 자가 투여 행동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확인 됐습니다.

또한 중독에 의해 활성화되는 대뇌 측좌핵의 신경활성 물질(c-fos 및 CREB)이 침 자극으로 억제 되는 것도 확인했습니다.

이는 한의학의 대표적인 치료수단인 침술이 스트레스에 의한 뇌의 특정 부위의 신경활성을 억제하여 코카인 중독재발을 막는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공동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지난 2010년 11월 미국 샌디에고에서 열린 미국 신경과학회(SFN,Society for Neuroscience)에서 발표했고, 이 연구결과는 20,000여개의 발표 중에서 올해의 Hot Topics 200에 선정됐습니다.

공동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침 자극을 통해 뇌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의 작용 기전(메카니즘)을 밝히는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