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이번 대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일본 혼슈 센다이 지역을 촬영한 아리랑 2호 영상을 인터내셔널 차터(International Charter)에 제공했습니다.

이번 제공은 인터네셔널 차터로부터 일본 대지진 피해분석과 추가 피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료를 요청받은 것으로, 아리랑 2호 영상을 통해 일본 동북부 센다이와 소마지역 참사 현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인터내셔널 차터는 유럽우주국(ESA)과 프랑스우주국(CNES),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중국우주국(CNSA) 등 인공위성을 보유한 13개국 우주개발 기관들이 자발적으로 조직한 국제협력기구로, 전 세계를 대상으로 자연 재해 등이 발생했을 때 인도적 차원에서 자국의 인공위성으로 촬영한 위성영상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터내셔널 차터 회원국들은 이번 대지진 발생 이후 위성 촬영임무를 지속적으로 수행, 총 300여 장의 영상자료를 제공 중입니다.


<아래 사진은 모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제공한 아리랑 2호 위성 영상입니다.>

센다이지역(1_발생전_080617).jpg

센다이지역(2_발생후_110314).jpg

센다이지역(3_발생전_080617).jpg

센다이지역(4_발생후_110314).jpg

센다이지역(전체_발생전_080617).jpg

센다이지역(전체_발생후_110314).jpg


소마지역(1_발생전__101110).jpg

소마지역(1_발생전__101110).jpg

소마지역(3_발생전__101110).jpg

소마지역(3_발생전__101110).jpg

소마지역(5_인근해역잔해물___110314).jpg

소마지역(전체_발생전__101110).jpg

소마지역(전체_발생후___110314).jpg



 <인터내셔널 차터 개요 및 추진현황>

◎ 설립배경
 ○ 1999년 7월 제3차 우주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UN회의(UNISPACE III) 에서 유럽과 프랑스우주기구(ESA와 CNES)가 International Charter - Space and Major Disaster의 설립을 제안하였고, 이듬해인 2000년 캐나다 우주기구인 CSA가 참여하면서 2000년 11월부터 활동이 개시됨.

◎ 설립목적
 ○ 전 세계를 대상으로 자연재해 또는 인재 발생 시에 회원기관의 지구관측위성을 이용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위성정보의 수신 및 전달을 수행하여 재해경감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일원화된 시스템을 제공함.
 ○ 이를 위해 대규모 재해발생 시에 회원기관의 위성정보를 제공하여 전 세계 재해로 인한 피해를 저감시키는 활동에 기여함.

◎ 주요활동
 ○ 인터내셔널 차터가 발족한 이후 2010년 11월 운영 10주년을 맞이하였으며, 2011년 2월까지 100여개 이상의 국가에서 300건 이상의 재해에 대해 위성정보를 제공하여 피해 복구지원 등에 기여함.


 

인터내셔널 차터 가입 현황(2011년 현재)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가입 추진 현황
 ○ International Charter(이하 IC) 이사회에 공식 참여의향서 발송(2010. 2)
 ○ IC 회원국 가입을 위한 정기 이사회 회의 참석(2010. 6)
 ○ IC 이사회 만장일치 동의 및 이사회 참석 요청 서신 수신(2010. 9)
 ○ IC 정기 이사회 회의 참석(2010. 10)
 ○ IC 운영 평가를 위한 기술평가단 방문(2011년 상반기 예정)
 ○ IC 가입 서명식(2011년 상반기 예정)



반응형
반응형


아리랑 위성 프로젝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대한민국의 본격적인 상용위성 시대를 열기 위해 전개하고 있는 다목적 실용위성 시리즈입니다.

1999년부터 발사된 아리랑 위성은 그동안 진화에 진화를 거듭하며 우리에게 막강한 지구관측 능력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저궤도 실용 관측위성인 다목적 실용위성은 1999년 1호 발사를 기점으로 현재 1m 급 해상도의 다목적실용위성 2호를 궤도상에서 운영 중이며, 또 발사 순서대로 아리랑 5호, 3호, 3A호를 개발 중입니다.

6.6m급 해상도의 아리랑1호에서 시작된 영상촬영 능력은 아리랑 2호이 1호보다 무려 40여 배 향상된 1m급으로 발전했습니다.

또 2012년 발사 예정인 ‘아리랑 3호'에는 이보다도 진일보한 해상도 70㎝급의 광학카메라가 탑재됩니다.

광학 탐지 뿐만 아니라 올해 발사 예정인 ‘아리랑 5호'는 구름이 있거나 야간에도 촬영이 가능한 전천후 관측 영상레이더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아리랑 5호가 궤도에 오르면 우리나라는 전천후 레이더 영상을 확보해 광학영상과 상호 보완적으로 지형·지리정보, 원격탐사, 정밀관측 등 국내외 수요 영상활용 및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게 됩니다.

또 개발 중인 ‘아리랑 3A호'에는 적외선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PAN/MS/IR 카메라가 탑재됩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고성능 광학, 레이더, 적외선카메라의 라인업을 갖춰, 주·야간은 물론 기상 상태 등에 관계 없이 지표면을 관측할 수 있는 나라가 될 것입니다.


◆아리랑 1호(무게 470kg, 685㎞ 저궤도)
 

아리랑 1호는 1994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다목적 실용위성으로 모두 2241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아리랑 1호에는 주 카메라인 해상도 6.6m의 전자광학탑재체(EOC) 외에 해양관측용인 저해상도 카메라도 장착됐다.
5년간의 제작기간을 거친 아리랑 1호는 1999년 12월 2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미국의 오비탈사이언스가 제작한 토러스 로켓에 실려 우주로 올라갔다.
아리랑 1호가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98분.
지상고도 685㎞의 상공을 돌면서 동서 15㎞ 폭을 남북방향으로 관측, 우리나라와 그 주변부에 대한 전자지도 제작과 해양관측, 우주환경 관측 등 3가지의 주요 임무를 수행했다.
아리랑 1호는 1초에 2장씩, 하루 120장의 사진을 대덕에 있는 지상국으로 보냈다.
2008년 2월 20일 임무가 공식 종료되기 전까지 아리랑 1호는 임무설계기간보다도 3년을 더 작동하면서 8년 10일 동안 지구를 4만 3000여 바퀴나 돌며 총 44만 장의 각종 자료사진을 찍어 보내는 등 국내 위성산업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


◆아리랑 2호(무게 800kg, 685㎞ 저궤도)


아리랑 2호는 685㎞ 저궤도에서 한번에 15㎞ 폭으로 지상에 있는 물체를 1m급의 고해상도로 촬용할 수 있는 성능을 자랑한다.
2006년 러시아 플레체스크발사장에서 러시아 발사체 ‘로콧'에 의해 발사된 뒤 임무설계기간인 3년을 넘어선 지금까지도 아무런 문제없이 운용 중이다.
아리랑 2호가 지구로 보내오는 위성영상은 국토관리, 자원탐사, 농업 및 산업활용, 해양감시 등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아리랑 2호는 프랑스의 스팟 이미지사와의 위성영상 수출 계약을 통해 지금까지 2000만 달러가 넘는 위성사진을 해외에 판매하는 등 수출 효자상품의 노릇도 톡톡히 하고 있다.

◆아리랑 3호(제작중, 무게 1000kg 내외, 685㎞ 태양동기궤도)



아리랑 3호는 국가 수요 및 상업적 위성 영상 제공을 목표로 지난 2004년부터 2872억 원을 투입해 개발 중인 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이다.
아리랑 3호에는 해상도 70㎝급 광학카메라가 탑재된다.
아리랑 3호는 2012년 일본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발사될 예정이다.


◆아리랑 3A호(제작중, 무게 1000kg 내외, 530㎞ 태양동기궤도)

아리랑 3A호는 적외선 영상정보의 자주적 확보와 활용을 도모하고 주야간 지상해양 관측을 위한 PAN/MS/IR 카메라가 탑재된 저궤도 실용위성이다.
특히 다목적 3A호 본체기술을 민간으로 이전해 우주개발 자립도를 높이고, 국내 우주산업을 본격적으로 육성하는 촉매 역할을 하고 있다.
오는 2013년 9월 발사 예정이며 임무 수명은 4년이다.


◆아리랑 5호(무게 1400kg, 550㎞ 태양동기궤도)
올해 상반기 중 발사 예정인 아리랑 5호는 한반도의 전천후 지상·해양 관측을 위한 영상레이더를 탑재한 저궤도 실용위성이다.
이 위성을 통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국내 최초의 전천후 영상레이더 지구관측위성의 개발 기술을 확보했다.
임무수명은 5년이며 올해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드네프르(러시아 코스모트라스사 제작) 발사체에 실려 우주로 향할 예정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