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로 올릴 수 있는 3단형 한국형발사체가 2021년까지 개발됩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최근 ‘제4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열고 우주개발 활성화와 한국형 발사체 개발을 골자로 하는 ‘제2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과 ‘한국형발사체 개발계획’을 확정했습니다.

2차 우주개발 계획은 2016년까지 ▲우주핵심기술의 조기 자립화 ▲위성정보의 활용 확대를 위한 체제 구축 ▲우주산업 역량강화를 위한 민간 참여 확대 ▲우주개발 활성화를 위한 인력양성 및 인프라 확충 ▲우주개발 선진화를 위한 체제 정 등 5대 중점 추진전략을 토대로 독자적 우주개발 능력을 마련하는 것을 골자로 합니다.

이를 위해 위성체기술 고도화, 우주 미래·기초기술 확보, 우주개발·활용 전문인력 양성 등 14개 중점 추진과제를 발굴해 추진할 계획입니다.

또 교과부는 한국형발사체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2021년까지 1조 5449억 원을 투입해 1.5t급 실용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한국형 3단 발사체를 개발합니다.

1단 엔진은 300t급 추력 확보를 위해 75t급 기본엔진 4기를 묶어 구성하고, 2단은 기본엔진 1기로, 3단은 5~10t급 액체엔진을 활용한다는 구상입니다.

또 기존 나로우주센터는 한국형발사체 개발과 발사를 위한 발사장으로 확장을 추진합니다.

발사체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은 수준 평가를 통해 요소기술별로 구분, 미확보 핵심 기술은 독자개발을 원칙으로 하면서 개발 위험도가 높거나 신뢰성 향상을 위한 일부 핵심 요소기술에 대해서는 국제협력을 병행할 계획입니다.

개발단계

주요 개발계획

추진전략

1단계 (4년, '11-'14)

▪5~10톤 액체엔진 개발

추진기관 시험설비 구축

소형 엔진부터 단계적

개발

2단계 (4년, '15-'18)

▪75톤급 액체엔진 개발

▪시험발사체 제작․발사('18)

시험발사 실패시 다음 단계 개발계획 재수립

3단계 (3년, '19-'21)

▪3단형 위성발사체 개발․발사

▪75톤급 × 4개 묶음 방식('20, '21)

본 발사 성공시 발사체조합방식 다양화 개발



붙임 1

 

제2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안) 주요내용

1. 비전 및 목표(안)

 

비 전

 

 

 

우주공간의 평화적 이용과 과학적 탐사를 촉진하여

국가의 안전보장과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

 

목 표

 

 

 

1. 독자적 우주개발능력 강화를 통한 우주강국 실현

2. 지속발전 가능한 우주개발과 활용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

3. 우주산업의 세계시장 진출 확대를 통한 미래 국가경쟁력 확보

4. 우주개발 선진화와 우주활동공간의 확장으로 국가위상 제고

2. 중점 추진전략(안)

1

 

우주핵심기술의 조기 자립화

위성체 및 발사체 개발 등 우주시스템 개발과 우주핵심기술확 통한 우주개발 자립화 추진

- 전략적 필요성 등을 고려한 고해상도 실용위성(3기)소형위성(3기) 발사, 정지궤도 복합위성 국내주도로 개발

▪ 사업별 개발전략 및 기술자립화 목표를 명확히 하고 미자립화 핵심기술에 대한 전략적 확보 방안 마련

- 한국형 발사체 설계, 5~10톤 연소기, 터보펌프와 공급계 등 엔진 핵심부품 개발 및 연소시험

- 대학연구실 중심의 기초연구 확대 및 우주기초과학 활성화한 다양한 프로그램 신설

▪ 우주탐사 시대에 대비한 선행적 미래 우주기초 연구 착수

2

 

위성정보의 활용 확대를 위한 체제 구축

○ 수요관점의 위성정보 확보를 통한 활용 확대 추진

- 국가 위성정보 통합관리와 활용촉진을 위한 법적체계 확립 및 범부처 차원의 ‘국가 위성정보 활용촉진계획’ 수립․시행

부처 간 협의체인 ‘위성정보 활용 촉진위원회’를 국가우주위원회의 실무위원회로 격상하여 운영

- 위성정보 품질향상 및 실용화를 위한 연구개발 확대

홍수, 가뭄, 산불, 해양재해 등에 따른 피해저감 및 복구비 절감을 위해공안전분야의 기술개발사업 추진

- 위성정보 통합관리ㆍ활용체제 구축을 위한 ‘국가위성정보활용센터’ 설립 운영

교과부(항우(연) 위성정보연구센터)를 중심으로 국토부, 기상청 등 공급기관과 소방방재청, 농촌진흥청 등 수요기관 연계

3

 

우주산업 역량 강화를 위한 민간참여 확대

우주개발을 전문기관 주도에서 산업체 주도로 사업 추진 체계를편하여 우주산업 역량 강화 추진

- 우주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및 연구기관과 산업체간 력교류 시스템 구축

우주부품에 대한 관세 및 부가가치세 면제, 중소기업대상 병역지정업체 선정시 가산점 부여 등

- 국가우주개발사업의 산업체 참여 확대 및 기술이전 촉진을한 전담조직의 역할 확대

- 핵심부품의 전략적 개발 및 우주기술 연구소 기업 육성 등 통해 우주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 추진

4

 

우주개발 활성화를 위한 인력양성 및 인프라 확충

국가우주개발사업과 인력양성을 연계하고 생애주기(대학생-신진-중견 과학자)를 고려한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 우주개발사업 수요를 고려한 전문인력 양성 및 우주전문교육기회 제공으로 우주인력의 질적 수준 제고 추진

- 초소형 위성 프로그램 등 우주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우주경연대회 등을 통한 국민에게 다가가는 우주문화 확산 추진

- 우주센터 시설․장비의 확충 및 우주환경시험 개발품 성능평가 등을 위한 시험시설․장비 확충

5

 

우주개발 선진화를 위한 체제 정비 및 국제협력 다변화

우주개발 사업관리 및 기술평가 선진화 체계 마련과 국제력 다변화 추진

- 우주개발사업의 특성 등을 고려한 사업관리 효율성 제고 합적인 우주물체 감시우주기상 예보․대응체제 구축

대규모 우주개발사업의 개방형 사업체제 운영 및 우주정책연구센터 설립 추진

- 협력대상 국가별 특성을 고려한 우주협력 추진과 능동적 국제협력 활동 참여를 통한 국가 위상 제고

협력 대상을 선진국, 개도국 및 후발국으로 구분하여 우주기술 확보와 우주산업 잠재시장 발굴 추진

3. 추정 예산안 및 달성 목표

○ 5년간 총 2조 1,331억원 투자 예상

○ 위성(6기) 발사 및 5~10톤 액체엔진을 국내주도 개발

○ 국가위성정보의 활용 체계 구축 및 우주전문인력 1,000명 양성

붙임 2

 

한국형발사체 개발계획(안) 주요내용

1. 사업개요

○ 목적 : 1.5톤급 실용위성지구 저궤도(600~800km) 발사할 수 있는 발사체 개발 및 우주발사체 기술 확보

사업기간 및 총사업비 : ’10~’21, 1조 5,449억원

○ 주요 사업내용

- 발사체 설계, 제작, 시험 및 시험설비 개발․구축

- 75톤급 액체엔진 개발 후 시험발사를 통한 성능검증(2018)

- 발사체 조립, 지상인증 후 발사 2회 수행(2020, 2021)

2. 추진 경위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 「우주개발사업 세부실천로드맵」 수립(‘07.11)

- KSLV-Ⅰ 후속사업으로 한국형발사체(KSLV-Ⅱ) 개발 추진

- 한국형발사체 자력개발(안) 반영 (기본엔진 : 75톤급 액체엔진)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09.9, KISTEP) 및 사업착수('10.3)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추진체계 개편 및 개방형 사업단 설치(‘11.8)

3. 기술확보 계획

나로호 개발(시스템 기술, 상단소기술)과 선행연구(30톤급 액체엔진의 주요 구성품 개발)를 통해 확보한 기술과 개발․운용 경험 활용

고추력(75톤급) 액체엔진 국내 기술진에 의해 설계, 제작, 시험, 인증하는 등 全 과정을 독자 개발을 통해 기술 확보

○ 국내에 기술과 경험이 없는 일부 핵심요소기술에 대해서는 국제 기술협력 병행 추진

4. 사업 추진체계 개편

산․학․연 연계 및 효율적인 사업관리를 위한 연구개발 체계 구축(개방형 사업단 구성)

사업초기부터 산업체 참여 확대 장기적으로 산업화 자립이 가능하도록 조기 기술이전 추진 및 전문기업으로 육성

외부 전문가 구성된 전담평가단 설치 등 객관적 평가 체계 마련 및술개발 과정에 대한 상시적 진도평가 및 사업 관리 내실화

5. 주요 개발 일정

1단계(2010~2014) : 시스템설계('12)예비설계('14)

- 5~10톤급 액체엔진 개발* 및 시험설비 개발․구축

* 엔진 총조립 및 지상 연소시험을 통한 엔진성능 확인

2단계(2015~2018) : 상세설계 및 제작․시험('17)

- 발사체 상세설계 및 추진기관 시스템 시험설비 구축('16)

- 75톤급 액체엔진 개발․인증 및 시험발사체 발사('18)

3단계(2019~2021) : 발사체 인증 및 발사운영

- 액체엔진 4기를 활용한 1단 엔진 클러스터링 기술 개발

- 발사체 인증한국형발사체 2회 발사*('20, '21)

* (중․소형)시험위성 발사를 통한 발사체 개발의 성공여부 확인(위성은 추후 결정)

6. 기대효과

우주발사체 자력발사 능력 확보로 국가 우주개발의 안정적․독자적 수행

○ 대형 복합 시스템기술인 우주발사체 개발기술 확보

○ 국내 관련 산업계에 기술 파급 효과 증대

국가 위상 제고국민의 자긍심 고취에 기여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