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 제어 및 정밀 계측기기 개발전문기업 커미조아가 산업용 이더넷 기반 'cEIP-α' 시리즈를 선보였습니다.



'cEIP-α' 시리즈는 산업용 이더넷 기반 'cEIP'의 업그레이드 제품으로, 산업 현장에서 직접 사용하는 엔지니어들의 의견을 적용, 모션칩 및 A/D 칩 등 일부 핵심 칩을 제외한 90% 이상이 국산 부품입니다.

또 Panasonic RTEX, Mitsubishi SSCNET III, Yaskawa Mechatrolink III 제품과 연동할 수 있는 타 제어방식의 모듈 Interface 기술이 적용됐고, 네트워크를 통한 복수의 분산 노드 대상 동시 펌웨어(Firmware)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분산 노드 대상 동시 펌웨어(Firmware) 업그레이드 기법은 특허 출원할 예정입니다.

IOCP 기법을 사용한 패킷 프레임워크의 최적화로 패킷 송수신 시간도 30% 이상 단축됐습니다.

이 외에도 커넥터 연결 방식의 다양화로, 기존 cEIP 제품의 ERNI 커넥터 대신 HONDA D-SUB 커넥터 방식을 채택해 편리성과 안정성을 높였고, 전용 케이블과 터미널의 기능을 하나로 합친 터미널 젠더 개념을 도입해 별도의 전용 케이블이 없이도 직접 배선작업이 가능합니다.



□ 커미조아는 'cEIP-α' 시리즈와 함께 제조업용 로봇 내에 탑재하는 제어기 관련 기술과 부품 국산화를 계획 중입니다.

대만의 경우 지난 2007년 6억 달러 규모의 자국 내 제조업 로봇 시장을 2015년까지 10배 이상 육성시키려는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또 미국과 유럽의 경우 유명 기업을 중심으로 산업용 로봇 관련 시스템을 자동차,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 등에 적용시켜 이미 상품화에 성공했습니다.

반면 국내 로봇 시장은 180여 개의 기업에서 필드버스 기반의 범용 제어기를 시판하고 있지만, 기술적 장벽이 높은 범용 제어 계측 플랫폼의 개발에는 요원한 실정입니다.

커미조아 측은 이러한 국내 제어기 기술 및 국산 부품화를 통해 수출이 부진한 국내 산업용 로봇시장의 핵심 분야인 국내 공작 기계 산업에서  연간 20~30억 달러에 달하는 무역 수지 적자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 커미조아는 관련 기술에 대한 전문 인력 양성, 생산 노하우 습득을 통해 제품 Q/C 체계화 및 제품 개선을 통한 불량률 절감 등 생산 효율이 50% 이상이 증대시켰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